정보/투자 / / 2025. 11. 6. 22:39

증시 버블일까? 버핏지수로 보는 주식 과열상태 (실시간 버핏지수 보는법)

반응형

증시 과열? 버핏지수로 보는 지금 주식시장 상태

최근 주식시장을 보면 "너무 오른 것 아닌가?" 하는 말이 자주 나옵니다.
미국 나스닥과 S&P500 모두 사상 최고가 근처를 오가고 있고,
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‘버블(거품)’에 대한 경계심이 커지고 있죠.

그렇다면 실제로 지금 시장이 과열된 걸까요?
이럴 때 참고할 수 있는 지표가 바로 ‘버핏지수(Warren Buffett Indicator)’입니다.

 


💡 1️⃣ 버핏지수란 무엇인가?

버핏지수(Warren Buffett Indicator)
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 ÷ GDP(국내총생산)’으로 계산되는 지표입니다.


📊 버핏지수 = (모든 상장기업의 시가총액) ÷ (GDP) × 100

즉, 한 나라의 주식시장 규모가 **경제 규모(GDP)**에 비해 얼마나 커졌는지를 보는 지표죠.
이 지수를 만든 워런 버핏은

“이 지표는 시장이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를 판단하는 가장 좋은 단일 척도”
라고 말했어요.


📉 2️⃣ 버핏지수로 보는 과열 기준

버핏지수 수준시장 평가
70% 이하 저평가 (매수 기회)
80~100% 적정 수준
100~120% 다소 고평가
120% 이상 과열 상태 (버블 우려)

즉,
버핏지수가 120%를 넘으면 시장이 과열되었다고 판단하는 게 일반적입니다.


3️⃣ 현재(2025년) 버핏지수는? 실시간 버핏지수 보기

2025년 11월 기준,
미국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약 67조4686억달러 ,
미국 GDP는 31조달러. 2025년 추정치  수준입니다.

👉 계산해보면,

버핏지수 ≒ (67 ÷ 31) × 100 = 216%

 

즉, 역대급 과열 상태에 해당합니다.

실제로 2000년 IT버블 때 버핏지수는 약 145%,
2021년 코로나 이후 유동성 장세 때는 200%에 육박했어요.
지금은 ‘고평가 구간’이라 볼 수 있죠.

 

실시간으로 버핏지수를 보려면 아래 사이트를 참조해주세요.

 

Buffett Indicator

 

Buffett Indicator

The only Warren Buffett Indicator to determine current market valuation.

buffettindicator.net

 

 


📊 4️⃣ 왜 이렇게 지수가 높을까?

현재 버핏지수가 높게 유지되는 이유는 단순히 주가 상승 때문만은 아닙니다.

  1. 빅테크 기업의 시가총액 집중
    •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엔비디아 등 몇몇 대형주가 전체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음.
  2. AI·반도체 투자 기대감
    • 생산성 혁신 기대감이 시장 전체 밸류에이션을 높임.
  3. 저금리 기대감 + 유동성 지속
    • 금리 인하 전환 기대감이 자금 유입을 가속화.

즉, 경제가 실제로 성장한 것보다 “미래 기대감”이 주가를 밀어올린 상태예요.


⚠️ 5️⃣ 버핏지수의 한계도 있다

하지만, 버핏지수만 보고 시장을 판단하는 건 위험합니다.

  • GDP에는 해외 매출이 반영되지 않음
    → 글로벌 기업이 많은 미국 시장은 실제보다 지수가 높게 나올 수 있음
  • 금리 수준, 기업 수익성, 인플레이션 등 다른 요인도 중요
  • 기술 혁신기에는 지수가 높아도 장기 성장 가능

즉, 버핏지수는 **“과열 경고등”**이지 **“매도 신호”**는 아닙니다.


💬 6️⃣ 투자자 입장에서 어떻게 대응할까?

📌 ① 포트폴리오 분산 유지

  • 미국 ETF만 집중하기보다, 현금·채권·리츠 등 자산 분산 필요

📌 ② 고평가 종목 비중 축소

  • 최근 급등한 AI, 반도체 중심 종목 비중 점검

📌 ③ 장기적 현금흐름 자산 확보

  • JEPI, SCHD 같은 월배당·고배당 ETF를 일부 편입해 리스크 완화

📌 ④ 시장 과열기엔 ‘타이밍’보다 ‘비중 관리’

  • 고평가 구간에서는 시장 타이밍을 맞추기보다, 현금 비중 조절이 핵심

🧾 7️⃣ ‘경계 모드’가 필요한 시점

항목요약
현재 버핏지수 약 216% (고평가 구간)
과거 평균 약 100%
시장 상태 과열 우려 있음
투자 전략 분산 + 비중 관리 필수

💡 결론:

시장은 분명 고평가 구간에 들어섰지만,
“거품”이라 단정하긴 이르다.
다만, 지금은 ‘수익 극대화’보다 ‘리스크 완화’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.

 

워렌버핏

이 글을 공유하기

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band